![](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ke6t/btszKJctNfj/fAJD4gKcm6HTb7eEcVEJek/img.png)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 소프트웨어를 체계적●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도구(tool), 방법(method), 절차(process)적 관점에서 계층화하고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software life cycle)는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정의하고, 실제적으로 개발하고, 유지●보수하는 과정들을 단계적으로 나눈 것으로, 폭포수 모형, 프로토타입 모형, 나선형 모형 등이 있는데, 구현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 폭포수 모형 폭포수 모형(waterfall model)은 순차적 실행 모형으로, 각 단계를 완료한 후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모형이다. 폭포수 모형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uPxL/btsz2Ye1Z2t/ZasYlWLnNJoCbj8zggVOD0/img.png)
■ 신재생 에너지의 특성과 종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New Renewable Energy) 개발이 주목 받고 있다. 재생 가능성이 무한하며 환경 오염을 적게 유발하는 태양광, 태양열, 풍력, 조력, 지열, 바이오매스, 수력 등을 이용한 에너지 자원이 주목 받고 있는 것이다. 태양 에너지 생산 전력은 1990년대 중반부터 해마다 17%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태양 전지나 태양열 발전소는 설비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태양광이나 태양열을 포집하려면 아주 큰 면적이 필요하고, 설비 자체가 에너지를 소비하기도 한다. 그러나 태양열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는 풍부하고 고갈될 걱정이 없다는 점에서 미래 에너지로 주목 받고 있다. 2010년에 노르웨이는 전기 공급량의 99%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giXxZ/btszLWCbSan/U4s93UuOQ5XRLeGxCHFz6k/img.png)
현대에는 화석 연료의 고갈에 대비하여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중 하나인 바이오매스도 신재생 에너지 자원으로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는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 콩, 옥수수, 사탕수수 등을 사용하는 1세대, 물이나 목재를 사용하는 2세대, 바다나 호수에 널리 분포한 미세 조류를 사용하는 3세대로 구분된다. 1세대와 2세대 바이오매스는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곡물 가격을 상승시키고, 자연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3세대 바이오매스는 어떤 자원의 가격을 상승시키거나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연료를 생산한다. 미세 조류란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생물을 말한다. 미세 조류는 증식 속도가 매우 빠르며, 1세대와 2세대 바이오매스와 비교할 때 연료 생산량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9LE8v/btszKzuqJdV/vIYOpjdPBYFFFKYDM3LSf1/img.png)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컴퓨터가 처음 만들어진 이후 보다 쉽게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와 방법들이 생겨났으며, 그에 따라 보다 강력하고 편리한 형태의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가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수백 가지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만들어져 왔는데, 여러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비율을 분석하는 TIOBE Index에 의하면 2017년 8월 현재 가장 많이 검색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Java, C, C++, C#, Python, Visual Basic .Net 등으로 나타난다. TIOBE Index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위 25개(Google, Youtube, Baidu, Yahoo, Wiki-pedia, ebay, amazon 등)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ujWmt/btszK3BFajT/laKBaMkf9BNKAvZ1JQoDB0/img.png)
반도체의 역사에 대하여 Tv나 라디오와 같은 전자 제품에 쓰이던 진공관은 부피가 크고 많은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며 작동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렇게 불편한 진공관을 대신한 것이 트랜지스터이다. 트렌지스터란 p-n접합 다이오드에 p형 반도체나 n형 반도체를 하나 더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 전자 회로의 기초가 되는 반도체 소자이다. p-n-p형 트랜지스터와 n-p-n형 트랜지스터로 나뉜다. 세 부분을 각각 이미터(E), 베이스(B), 컬렉터(C)라고 한다. 베이스(B)의 작은 입력 전류를 이용해 큰 출력 컬렉터(C)전류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증폭 작용이라고 한다. 벨 연구소에서 트랜지스터를 발명한 이후 반도체IC(집적회로), 광전소자 등이 개발되었고, 고집적IC,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용화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