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뢰침은 번개가 치는 위치에서 번개가 가진 전하를 안전하게 대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피뢰침이 뾰족하면 피뢰침에서 땅으로 이동하는 전하에 의해 생기는 전기장은 도체의 곡률 반지름이 매우 작기 때문에 그 근처에서 가장 강하다.이 큰 전기장은 다른 곳보다 피뢰침의 끝 부분 근처로 번개가 칠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추가 내용번개가 칠 때 차 안에 있어야 안전한 이유는 뭐 때문일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속이 빈 형태의 도체에 대해서 생각해 봐야 한다.그 빈 공간에는 전하가 존재하지 않는다.이런 경우 빈 공간 내부의 전기장은 도체 표면의 전하 분포와 무관하게 항상 0이어야 한다.또한 도체 외부에 전기장이 존재하더라도 빈 공간 내부의 전기장 역시 0이다.(외부 전기장 E 내에 놓쳐 있는 도체의 ..

석탄액화란 고체연료인 석탄을 석탄가스화, 탈황, 이산화탄소 분리 등의 과정을 거쳐 합성가스로 만들고 추가 공정을 거쳐 휘발유나 디젤 같은 액체연료로 전환시키는 기술이다. 석탄은 휘발유나 디젤에 비해 원료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의 함량이 낮으므로 직접 액화 과정에서 다량의 수소를 첨가시켜 액체연료로 만든다. 이 공정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대규모 생산이 가능한 석탄 직접 액화 공장을 건설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있다. 이런 공정들은 이미 1930년대 독일에서 개발되어 상용화된 적이 있으며, 최근 고온고압 조건에서 석탄가스에 수소를 첨가하는 기술이 개선되어 석탄액화 기술의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의 핵심인 가스화 기술은 단독으로도 효율이 높지만 석탄액화 기술, 수소 생산 기술, 합..

지구가 하나의 커다란 자석이기에 우리는 나침반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지구를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막대자석으로 모형화하면 지구 자기장의 원인을 간단히 설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모형은 높은 온도에서 자성을 잃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 모형은 시간에 따른 지구 자기장의 변화고 쉽게 설명하지 못한다. 즉 이 모형은 자북의 이동현상이나 지구 자기장 역전 현상 등의 설명에 적합하지 않다. (자북 : 자석의 바늘 또는 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 이를 통해 지구를 전자석으로 모형화한 이론들이 등장했는데, 그 이론 중 하나가 다이나모 이론이다. 어원을 살펴보면 다이나모(dynamo)란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발전기를 의미한다. 이것은 축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과 브러시로 이루어진 회..

풍력 에너지란 풍력 터빈을 이용하여 바람의 움직임으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풍력 에너지는 바람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풍력 발전은 지속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소스로, 풍력 터빈(바람 발전기)이라 불리는 장치를 사용하여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풍력 발전의 작동 원리 : 풍력 터빈 설치: 풍력 발전소에는 여러 개의 풍력 터빈이 설치된다. 풍력 터빈은 큰 높이에 설치되며, 고도로 최적화된 모습으로 설계되어 바람을 적절한 각도와 속도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바람 에너지 수집: 풍력 터빈은 바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에너지를 수집한다. 바람이 터빈의 날개를 움직이게 하여 회전시키고, 이 회전 에너지는 발전기로 전달된다. 전기 생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