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만 데우는 전자레인지의 원리를 알아보자삼가 김밥 2분, 어묵 3분, 냉동 만두 5분. 이 시간은 전자레인지에 음식을 넣고 따뜻하게 데우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빙글빙글 돌아가는 전자레인지 안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자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 오븐이라고 하는데, 이는 전자레인지 안에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마이크로파는 전자기파 중 파장이 수cm에서 1m에 이르는 전자기파이다.이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음식을 데우는데, 이와 같은 방법이 가능한 이유는 물 분자가 극성 분자이기 때문이다.전자레인지를 작동하여 마이크로파를 음식물에 통과시키면 음식물 내의 물 분자는 진동하는 전기장 안에서 부분적인 양전하와 부분적인 음전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는 힘을 받는다.이 ..

1. 마이크로파란? 2. 전자레인지의 발견 역사 3. 전자레인지의 원리 ● 마이크로파란 오븐은 오븐 안의 공기를 뜨겁게 해 대류열로 내부의 음식물을 익힌다.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을 데우는 데 마이크로파(micro wave)를 이용한다. 전자레인지는 영어로 microwave oven이라고 한다. 마이크로파 주파수(진동수)는 300M㎐~300G㎐, 파장으로 보면 1㎜~1m인 전자기파의 한 영역을 뜻한다. 전자기파의 영역은 진동수에 따라 임의로 구분된다. 진동수는 1초 동안 파동이 진동하는 횟수로, 단위는 ㎐로 나타낸다. 1㎐는 1초에 파동이 1번 진동한다는 뜻이다. 파장이 짧을수록 진동수가 많고, 파장이 긴 전자기파는 진동수가 적다. ● 전자레인지의 발견 역사 1945년 군사용 레이더를 점검하던 미국의 한 연..

'이산화 탄소'하면 바로 떠오르는 단어가 지구 온난화이다. 이와 같이 화석 연료의 사용에 따른 이산화 탄소 배출이 지구 온난화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온실 가스를 줄이고 동시에 청정 연료를 얻으려는 연구가 최근 많이 진행되고 있다. 연구의 성과로 이산화 탄소(CO₂)를 수소(H₂)와 반응시켜 메탄올(CH₃OH)과 물로 전환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인 액체 연료보다 환경친화적인 메탄올은 미래형 자동차를 위한 에너지원으로 관심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메탄올 연료 전지를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전기를 직접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유해 가스의 배출도 억제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화학 분야에서 메탄올은 복잡한 화학 물질의 합성을 위한 중간 물질로 이용되어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 이산..

물을 얼리면 부푸는 이유는 화학Ⅱ 시간에 배우는 수소 결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소 결합은 분자 내에서 일어나는 원자 간의 화학 결합이 아니라 분자 간 상호 작용으로, 공유 결합보다는 매우 약하지만, 일반적으로 쌍극자•쌍극자 힘 또는 분산력보다는 매우 강하다. 수소 결합의 세기 때문에 물은 분자량이 비슷한 다른 물질에 비해 녹는점과 끓는점이 매우 높고, 비열과 증발열이 매우 크다. 또한, 응고될 때 생기는 일정한 수소 결합의 모양 때문에 물보다 밀도가 작은 얼음이 생성되고 다양한 모양의 서리나 육각형 모양의 눈 결정이 나타난다. 1930년대에 미국의 화학자 폴링(Pauling,L.)은 물 분자 사이의 수소 결합이 물 분자 내부의 화학 결합과 전자적으로 공유되어 그 세기가 계산한 값보다 더 강하다고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