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산업 혁명 : AI, 빅데이터, 로봇 등을 통한 기술의 융합으로 사람ㆍ사물ㆍ공간이 초연결화 및 초지능화 된 것초연결 :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의 연결(5G, IOT)초지능 :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인지 능력을 능가, 사물을 더 스마트하게 만드는 사물의 지능화초융합 : 초연결성 + 초지능화로 인해 모든 산업 및 기술이 결합되는 새로운 융합 산업 AI(Artificial Intelligence)란 1956년 다트머스 학회에서 존 메커시(JohnMcCarty) 교수가 처음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창안했다사람과 유사한 지능을 가지도록 인간의 학습 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어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하는 기술문제 해결을 위해 상황을 인지하고, 파악하고 추론하여 답을 ..

미국의 조지아 공과 대학에서는 온라인 학습을 통해서 인공지능을 가르친다. 온라인 포럼에서는 학생들이 약 10,000개의 질문을 올리고, 인공지능 담당 교수인 아쇼크 고엘은 8명의 조교들과 함께 매해 약 300개 정도의 답변을 한다. 아쇼크 고엘 교수는 9번째 조교를 추가했는데, 그녀의 이름은 질 왓슨(Jill Watson)이다. 질 왓슨은 사실 사람이 아니고 IBM의 인공지능 시스템이다. 아쇼크 고엘 교수는 질 왓슨이 사람이 아닌 컴퓨터라는 사실을 알리지 않고 수업을 진행했다. 질 왓슨은 수업을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질문에 대해 빠르고 정확하게 답변했다. 그래서 학생들은 질 왓슨이 컴퓨터라는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 어떻게 질 왓슨은 학생들의 질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답변하였을까? 그 해답은 ..

인류는 끊임없이 자연을 모방하고 응용하면서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나 생물체의 특성을 연구하고 모방하는 기술을 생체 모방 기술이라고 하는데, '생체 모방(biomimetics)'이라는 말은 '생명'을 뜻하는 'bios'와 '모방' 또는 '흉내'를 뜻하는 'mimesis'라는 그리스 어에서 따온 것이다. 한 예로, 도마뱀붙이는 파리처럼 발바닥에 털이 있는 것도 아니고 개구리처럼 끈근한 액을 내지도 않지만, 거칠거칠한 벽은 물론 유리처럼 매끄러운 면에도 잘 붙어 있을 수 있으며, 어디든 쉽게 기어오를 수 있다. 도마뱀붙이의 발바닥은 발가락마다 자글자글하게 주름이 잡혀 있는데, 주름마다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아주 작은 나노 단위(10억분의 1미터 단위)로 미세한 털이..

딥러닝은 컴퓨터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이다. 쉽게 설명하면 두 발 자전거를 탈 때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계속 타고 많은 연습을 통해 점점 능숙해지는 것과 비슷하다. 딥러닝은 컴퓨터에게 문제를 많이 주고 컴퓨터가 이 문제들을 해결하게 돕는 것이 중요해서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고양이 사진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한다고 해보자. 많은 고양이 사진과 그렇지 않은 사진을 사용해서 컴퓨터에게 어떤 것이 고양이인지 배우게 한다. 딥러닝은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해 규칙과 패턴을 찾아내는 것을 컴퓨터의 학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학습한 정보를 사용하면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측을 할 수 있다. 딥러닝 활용 예시 딥러닝은 음성 인식 기술에서 사용되어, 스마트 스피커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