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enzyme)란 생물학적 반응의 촉매로서 작용하는 큰 단백질 분자이다.이들은 간단한 무기 촉매들과 두 가지 중요한 점에서 다르다. 첫째, 효소는 분자 질량의 범위가 약 10^4~10^6 g/mol보다도 더 클 정도로 무기 촉매보다 훨씬 더 크고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둘째, 효소는 무기 촉매보다 그들의 작용에서 훨씬 더 특이적인데, 가끔 효소의 기질(substrate)이라고 하는 한 가지 화합물의 단지 한 가지 반응에 대해서만 촉매 작용을 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소화 기관에서 발견되는 아밀레이스(amylase) 효소는 녹말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만드는 데 촉매 작용을 한다.그러나 녹말과 셀룰로스가 구조적으로 비슷하더라도 셀룰로스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그러므로 사람은 감자(녹말)..
'뚫어뻥'은 변기의 배수구가 막혔을 때 공기압력을 이용해 막힌 곳을 뚫어주는 도구로 일반가정의 욕실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다.하지만 구조가 매우 간단한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사용법을 잘 몰라서 어려워하는 사람도 있다.그것은 이 도구의 원리를 잘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뚫어뻥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를 알면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다른 곳에도 이 원리를 응용할 수 있다. 뚫어뻥은 변기나 주방 등의 막힌 부분을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뚫는 도구로 압축기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뚫어뻥은 앞부분이 반원형의 고무로 되어 있어서 그 부위의 압력차를 이용하는 것도 있고, 피스톤식으로 막힌 부분에 갖다 대고 손잡이를 끌어당기는 형식의 것 등 종류가 다양하지만, 원리는..
하이패스 (hi-pass)란 주행상태의 차량에서 무선통신에 의해 통행료를 처리하는 자동 전자요금징수시스템이다.여기에는 근거리전용통신기술을 사용한다. 이 시스템은 통행료를 자동으로 정산해 교통지체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배출가스를 줄이는데도 큰 기여를 한다. 하이패스는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에 처음으로 고속도로 일부 구간에 설치되었고, 2007년 말에는 전국적으로 확대 설치되었다. 하이패스의 통행료 처리 과정 하이패스를 이용해 통행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차 안과 톨게이트 주변에 다음과 같은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다.기본적인 시스템은 전자카드, 차량단말기 그리고 톨게이트 안테나이다.먼저 차량을 인지하고 안테나에서 차량단말기로 결제요청 정보를 보낸다. 단말기는 카드의 결제정보를 읽어 톨게이트 안테나로 보내고..
추운 겨울 찬바람이 옷깃을 파고들면 따뜻한 방바닥이 그리워지죠따끈따끈한 방바닥에 배를 깔고 누워서 군것질을 하면서 쉬는 것은 너무 편하죠..이렇게 우리에게 따뜻함을 가져다주는 난방기술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옛날에는 주로 나무에서 연탄, 석유, 도시가스로 난방을 하는 방법으로 달라져왔습니다 최근에는 대단지 아파트나 빌딩에서 단지자체에 난바시설이 있어서 각 세대에 난방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중앙에서 난방을 할 때 필요한 온수를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서 물을 데우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① 아파트 자체에서 연료를 이용하여 온수를 만들어 공급할 수도 있고② 지역난방처럼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관리하는 열 생산시설에서 공급된 중온수를 열원으로 온수를 만들어 공급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