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653Y/btstlm77Azg/94Em00WvRWGZRaOmqzwfU1/img.png)
딥러닝은 컴퓨터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이다. 쉽게 설명하면 두 발 자전거를 탈 때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계속 타고 많은 연습을 통해 점점 능숙해지는 것과 비슷하다. 딥러닝은 컴퓨터에게 문제를 많이 주고 컴퓨터가 이 문제들을 해결하게 돕는 것이 중요해서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고양이 사진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한다고 해보자. 많은 고양이 사진과 그렇지 않은 사진을 사용해서 컴퓨터에게 어떤 것이 고양이인지 배우게 한다. 딥러닝은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해 규칙과 패턴을 찾아내는 것을 컴퓨터의 학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학습한 정보를 사용하면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측을 할 수 있다. 딥러닝 활용 예시 딥러닝은 음성 인식 기술에서 사용되어, 스마트 스피커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gpvi/btsufYSYLjW/lsodcU2Tolg6jIiqcPu4G0/img.png)
지구가 하나의 커다란 자석이기에 우리는 나침반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지구를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막대자석으로 모형화하면 지구 자기장의 원인을 간단히 설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모형은 높은 온도에서 자성을 잃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 모형은 시간에 따른 지구 자기장의 변화고 쉽게 설명하지 못한다. 즉 이 모형은 자북의 이동현상이나 지구 자기장 역전 현상 등의 설명에 적합하지 않다. (자북 : 자석의 바늘 또는 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 이를 통해 지구를 전자석으로 모형화한 이론들이 등장했는데, 그 이론 중 하나가 다이나모 이론이다. 어원을 살펴보면 다이나모(dynamo)란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발전기를 의미한다. 이것은 축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과 브러시로 이루어진 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08vB/btstMhSWja5/Zk8t22NxxPFCcAc1sCJacK/img.png)
변리사는 새로운 기술에 관한 발명이나 디자인, 상표 등의 권리 취득을 위한 법률적, 기술적인 상담과 지원을 해 주고, 그와 관련된 소송을 대신해 주는 지식 재산권 전문 대리인이다. 구체적으로는 특허권을 획득하고자 하는 대상의 설계도, 명세서, 제품 등을 조사ㆍ검토하며, 기존 다른 산업 재산권의 침해 여부, 발명이나 고안이 동일한지 혹은 유사한지의 여부를 감정한다. 특허 등록을 위한 문서 작성을 하여 고객과 검토한 후 문제가 없으면 특허권을 출입ㆍ청구하기도 하며, 특허 관련 소송이 있는 경우 변론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산업 재산권에 대한 등록, 보존과 더불어 저작권 등이 침해받는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이 바로 변리사이다. 변리사가 되는 길 변리사가 되려면 1년에 한 번 시행하는 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UKvt/btst6kDqsiX/rI6ItGPXE6cJbcJCYGc1w1/img.png)
강수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이나 빙정이 된 후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현상으로 흔히 비나 눈, 우박 등을 의미한다. 강수 현상이 생기기 위해서는 우선 구름이 필요하다. 구름은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과 같은 구름 입자들이 집합해 있는 것으로 구름의 형성은 수증기의 포화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포화 상태 : 주어진 온도에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최대로 포함되었을 때 포화 수증기량 : 이때의 수증기의 양 포화 수증기압 : 수증기에 의한 압력 (포화 : 더 이상의 양을 수용할 수 없이 가득 참) 포화 수증기량과 포화 수증기압은 기온에 비례한다. 대기 중의 수증기압이 포화 수증기압에 도달하게 되면 초과된 양의 수증기는 응결되어 구름 입자를 형성하고 포화 수증기량과 포화 수증기압은 유지된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LJA4h/btsuegfr9ZD/MWVMkAkPvLv7Ua9o7tRXQ1/img.png)
인공 강우는 구름은 형성되어 있으나 대기 중에 구름 응결핵이나 빙정핵의 수가 적어 구름 입자가 빗방울로 성장하지 못할 때 인위적으로 구름 응결핵이나 빙정핵이 될 수 있는 재료를 뿌려 특정 지역에 강수를 유도하는 것이다. 인공 강우는 오래전부터 시도되었는데 중세 시대 영국에서는 마을의 모든 종을 동시에 침으로써 대기를 흔들어서 인공 강우를 시도했다는 기록이 존재하며, 19세기에는 구름 속으로 폭발물을 쏘아 올려 인공 강우를 시도하기도 했다. 1946년 미국의 쉐퍼는 안개로 가득 찬 냉장고에 드라이아이스 파편을 떨어뜨리자 작은 얼음 결정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구름에 드라이아이스를 뿌려 최초로 인공 강우에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현재까지 세계 곳곳에서 인공 강우 실험이 지속되고 있다. 시딩 : 인공..